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RCPHN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OPEN ACCESS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 Volume 32(4); 2021 > Article
Original Article A Study on Glob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Experience
Eun Sil Cho, Myoung Hee Seo, Soo Ok You, Ok Hee Ahn, Myeoung Hi Song

DOI: https://doi.org/10.12799/jkachn.2021.32.4.485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1
1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Hanil Unversity &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Wanju, Korea
2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VISION College, Jeonju, Korea
3Professor, College of Nursing, Life Unversity Sihanoukville, Cambodia, Korea
4Professor, College of Nursing, Woosuk Unversity, Samrye, Korea
5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Jeonbuk Science College, Jeongeup, Korea
  • 495 Views
  • 21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obtain basic data for developing a glob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program.
Method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uly 2 to 11, 2020. The study participants were professors with experience in design, operation and management of glob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or experts with experience in international cooperation projects, and 8 peopl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focus group interview (FGI). FGI was conducted twice in total and the directed content analysis method was applied.
Results
The categories of ‘practice design’ are ‘growing as a global nursing leader’ and ‘working together towards one goal’. The categories of ‘practice operation’ are ‘watching, listening, and performing’, ‘self-directed organizing from preparation to finishing’, and ‘learning the value of participation rather than grades’. The category of 'practice management' is 'one's own weight to carry'.
Conclusion
Glob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aims one goal - growing as a global nursing leader - and is self-directed course from preparation to an end with watching, listening and performing together. It is about learning the value of participation rather than grades. Thi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sign, operation and management of glob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in the future.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21 Dec;32(4):485-496. Korean.
Published online Dec 29, 2021.  https://doi.org/10.12799/jkachn.2021.32.4.485
© 2021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조은실,1 서명희,2 유수옥,3 안옥희,4 송명희5
1한일장신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2전주비전대학교 간호학부 조교수
3캄보디아 라이프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4우석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5전북과학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A Study on Glob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Experience
Eun Sil Cho,1 Myoung Hee Seo,2 Soo Ok You,3 Ok Hee Ahn,4 and Myeoung Hi Song5
1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Hanil University &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Wanju, Korea.
2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VISION College, Jeonju, Korea.
3Professor, College of Nursing, Life University Sihanoukville, Cambodia.
4Professor, College of Nursing, Woosuk University, Samrye, Korea.
5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Jeonbuk Science College, Jeongeup, Korea.

Corresponding author: Song, Myeoung Hi. Department of Nursing, Jeonbuk Science College, 509 Jeongeupsa-ro, Jeongeup 56204, Korea. Tel: +82-63-530-9259, Fax: +82-63-530-9295, Email: smh5515@jbsc.ac.kr
Received June 29, 2021; Revised October 26, 2021; Accepted October 26, 2021.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obtain basic data for developing a glob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program.

Method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uly 2 to 11, 2020. The study participants were professors with experience in design, operation and management of glob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or experts with experience in international cooperation projects, and 8 peopl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focus group interview (FGI). FGI was conducted twice in total and the directed content analysis method was applied.

Results

The categories of ‘practice design’ are ‘growing as a global nursing leader’ and ‘working together towards one goal’. The categories of ‘practice operation’ are ‘watching, listening, and performing’, ‘self-directed organizing from preparation to finishing’, and‘learning the value of participation rather than grades’. The category of 'practice management' is 'one's own weight to carry'.

Conclusion

Glob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aims one goal - growing as a global nursing leader - and is self-directed course from preparation to an end with watching, listening and performing together. It is about learning the value of participation rather than grades. Thi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sign, operation and management of glob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in the future.

Keywords:
Internationality; Nursing; Education; Qualitative research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 질적연구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현대는 국제화 시대로 외국과의 교류가 활발해졌고, 인터넷, 사회관계망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등의 발달로 다양한 문화를 가진 사람들과의 글로벌한 소통도 가능해졌다. 이러한 사회적 흐름에 맞추어 학생들에게는 다양한 문화 경험과 글로벌 역량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각 대학은 외국 대학과 협력하여 현장실습을 기획, 수행, 평가하는 등 대학생의 글로벌 현장실습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1], 간호학 분야에서도 해외 간호대학과 교류 협력을 증진하여 간호대학생의 글로벌 역량을 향상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해외에서 진행되는 글로벌 학습의 주요 목표와 효과로는 타문화 이해, 국제협력 이해증진, 세계 시민의식 등이 언급되었으며[2], 선진국에서의 연수나 체험 프로그램 또는 개발도상국에서의 봉사 등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의 간호전문직 단체는 글로벌 리더십 향상을 미션으로 개발도상국의 간호 리더십 역량 개발과 국제협력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사업을 통하여 국제보건 문제를 현장에서 직접 경험하게 되면 문화적 역량이 높아지며, 국제적 인식을 성장시키는 기회가 되고, 건강과 사회의 불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직접 경험하게 되어 문화적 민감성이 높아질 수 있다[3, 4, 5].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도 국제역량을 높이기 위한 해외실습을 인정하고 있으며 많은 간호학과에서 국제역량에 관한 학습목표를 대부분 지역사회간호학실습 교과목에서 다루고 있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하는 1,000시간의 간호학실습 중 지역사회간호학실습은 90~135시간(2~3학점)을 시행하고 있고, 실습 기관으로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학교보건실, 산업장의 건강관리실, 산업보건센터, 근로자건강센터 또는 보건안전센터, 지역아동센터, 노인복지관 등에서 실시하고 있으며[6, 7], 지역사회간호학실습을 해외에서 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ealth Plan 2030)의 목표는 ‘건강수명 연장과 건강형평성 제고’[8]이다. 그러나 지역사회간호학실습 교과목의 학습목표 달성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간호대학생의 ‘건강 형평성 이해 및 문화적 다양성 실무 적용’에 대한 달성 정도가 낮았으며[7],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학습목표 달성 정도를 높이기 위해 간호대학의 교육과정 운영과 실무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였다[9]. 간호대학생의 건강형평성 이해와 문화적 다양성의 실무 적용 달성에 관한 선행연구가 적으므로 추후 역량을 반복, 확대하여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사회간호 현장에 필요한 문화적 지식, 문화적 기술, 문화적 경험, 문화적 인식 및 문화적 민감성을 높이는 방안도 제고되어야 한다[10, 11].

또한 미국 보건간호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 중 ‘공중보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공동 협력하기’ 항목은 국내 11개 4년제 지역사회간호학실습 교육에서 수행 정도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공중보건을 위한 협력은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도 간호교육 프로그램 학습성과로 포함하고 있으며, 협력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도 국제보건향상을 위한 전략으로 강조하고 있는 역량이다. 그러므로 협력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국제보건 현장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글로벌 실습이 요구되며, 아울러 협력 역량 강화를 위한 지도와 실습 방법을 모색하고 개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12, 13].

국외에서 수행된 간호대학생의 해외실습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호주 간호대학생의 아시아 국가 실습에 관한 연구에서 실습 기간, 학생 수, 학생 대 임상현장지도자 비율, 학점, 사정 도구 등이 일관되지 않는 실습 경험의 실태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였고, 해외 실습을 준비할 때에는 학생들의 기대와 개인 가치뿐만이 아니라 발표회 참여와 같은 예비 준비도 매우 중요함을 제시하였다[14, 15]. 또한 해외 실습의 문제점을 제시한 연구에서는 전문적이고 특성화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참여 학생과 교류국의 요구 반영, 참여 학생 선정을 위한 선발의 공정성, 참여 연령과 계층의 확대가 개선되어야 한다고 하였다[2]. 그러나 미국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해외 실습을 통하여 결핍된 자원과 환경에 대처하는 방법을 배웠고, 취약 대상자들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었으며, 국제적인 관점이 발달하는 등 지역사회 건강간호를 실습할 수 있는 아주 좋은 기회가 되었다고 보고하였으며[16], 호주 간호대학생 대상의 연구에서는 캄보디아에서의 실습을 통해 일차보건의료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 결과도 제시하였다[15]. 거의 유일한 국내간호대학생의 연구에서는 해외 실습을 통해 세계보건 문제의 인식 강화, 비판적 사고력과 글로벌 마인드 향상 및 국제 보건 역량의 수준이 높아지고 글로벌 리더로서 준비를 하게 되었다고 보고하였다[17].

한편, 태평양 지역 간호지도자(Pacific Heads of Nursing, PHoN) 창립총회에서 국제간호협의회(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ICN)의 최고의 장(Chief Executive Officer, CEO)인 Howard Catton은 보편적 건강보장을 비롯한 글로벌 건강 의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간호사들의 중요성을 연설하였고, 3일 동안 토론된 주제로 건강 비상사태, 면역 및 백신, 예방 가능한 질병, 산모와 아동 건강, 비감염성 질병, 보편적 건강보장과 일차 보건의료 등 지역사회간호 영역을 논의하였다[18]. 이처럼 간호사들은 미래의 역할 확대가 예견되므로, 변화에 대응 가능한 여러 기관과 현장을 발굴하고 역할을 경험하도록 해야 하며, 다양한 현장에서 ‘지역사회간호학의 핵심 지식과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실습 모델을 미래지향적으로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19]. 글로벌 실습은 지역사회간호학실습에서 주로 다루고 있는 학습목표인 건강형평성의 이해와 문화적 다양성의 달성에 적합하며, 지역사회간호학실습을 현재 간호 영역을 초월하여 글로벌 실습까지 실습영역을 확장한다면 미래 간호의 범위와 영역을 확대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6]. 이를 위해서는 글로벌 실습 교육 모델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요구되는데, 현재 우리나라에는 글로벌 간호실습의 사례가 거의 없고 또한 양적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글로벌 간호실습을 실제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간호실습의 생생한 경험이 있는 전문가에 의한 질적 자료가 요구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글로벌 간호 실습 교육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 자체를 이해하기보다는 실제적인 글로벌 간호교육 내용 개발에 있으므로 해당 전문가 집단의 인터뷰에 의한 질적 자료가 더 적합하다[20]. 이에 본 연구는 해외에서 간호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습 운영과 교육 경험이 있는 전문가 집단의 인터뷰 내용을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간호실습 설계, 운영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을 위한 실습 설계, 실습 운영 및 실습 관리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의 실습 역량과 교육 목표를 확인한다.

  • •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의 교육내용, 방법 및 평가 방법을 확인한다.

  • •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에서 교수자의 역할을 확인한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을 위한 실습 설계, 실습 운영 및 실습 관리 내용을 도출하기 위해 초점 그룹 면담(Focus Group Interview, FGI)를 이용한 질적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대상자는 해외에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습 활동을 운영해 본 경험이 있는 전문가로 해당 대상자는 눈덩이 표출법으로 모집하였으며 총 8명이다. 8명 중 1명은 해외에서 10년 이상 비정부기구(Non Governmental Organization, NGO) 활동 간호사로서 활동하며 해외 간호대학생의 실습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전문가이므로 연구대상자로 적절하다고 판단하여 섭외하였다.

3. 자료수집

본 연구의 자료수집기간은 2020년 7월 2일부터 7월 11일까지이며 자료수집방법은 FGI를 이용하였다. FGI는 6명 이하의 소그룹 인터뷰에서 토의 주제별 해당 분야 전문가의 깊이 있는 토론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20]. 연구진은 인터뷰 진행 전에 FGI 연구방법의 질문 원칙에 적합하게 Krueger와 Casey [21]가 제시한 5가지 질문 종류로 세분화하여 개방형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시작 질문은 “바쁘신 가운데 참여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본인을 소개해 주십시오.”, 도입 질문은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을 하게 된 계기(이유, 동기)가 있었습니까?”, 전환 질문은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을 통해서 간호대학생은 어떤 역량을 가지게 되었습니까?”, 주요 질문은 “간호대학생의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은 어떠하였습니까?”, 마무리 질문은 “간호대학생의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 지도 또는 운영이나 관리와 관련하여 제가 물어보지 않은 부분이나 더 하고 싶은 말씀이 있으면 해 주시기 바랍니다.”였다. 인터뷰 전에 연구참여자마다 시나리오 및 질문을 설명하고 연구에 대한 동의 및 FGI 참여 의향을 확인한 후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를 연구에 참여시켰다. 연구 질문을 전자우편으로 미리 전송하여 FGI 시 가능한 많은 전문가 의견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인터뷰 시 연구자가 사회자로 FGI를 이끌었으며, 다른 연구진은 인터뷰에 함께 참관하며 현장 분위기를 파악하고 의미 있는 현장 노트를 작성하였다. 편안하고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고 여유 있는 시간을 통하여 모든 연구참여자가 충분히 연구 내용에 대하여 발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진은 인터뷰를 마친 후에 그 자리에서 전체 인터뷰 과정을 복기하면서 인터뷰의 녹음상태를 점검하고, 디브리핑 노트를 기록하고, 각자의 현장 노트에 작성된 내용을 공유하였다. FGI는 총 두 그룹으로 진행되었으며 연구대상자의 동의하에 전체 녹음하여 필사하였다. 인터뷰의 전체 녹음 시간은 191분, 필사본은 A4 33페이지 분량이었다.

4. 자료분석

자료분석은 FGI 과정의 녹음내용 필사본, 현장 노트, 메모 및 디프리핑 노트 등이다. 공동 연구자 중 4명이 질적연구의 경험이 있으며, 질적연구에 대한 공통된 이해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내용분석방법으로 Hsieh와 Shannon [22]의 Directed를 적용하였는데 이는 전통적인 접근 방법보다 좀 더 구조화된 접근 과정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간호실습 교육에서 요구되는 주요한 변수를 초기 코딩 카테고리로 설정하였는데 이는 추후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에서 요구되는 실습 설계 및 운영의 교육 목표, 내용, 방법 및 평가 등의 체계성 분석에 필요하기 때문이다. ‘실습 설계’ 및 ‘실습 운영’ 영역에서의 초기 코딩 카테고리를 설정한 후 모든 텍스트를 반복적으로 읽어가며 해당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작업을 하였다. 같은 카테고리에 포함되어있는 내용 중에서 구체적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 하부 카테고리로 구분하였다. 초기 코딩 카테고리로 설정한 교육 목표, 내용, 방법 및 평가에 포함되지 않는 영역은 ‘실습 관리’로 명명하여 실습지도 경험의 내용을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2명의 연구자가 주요 분석을 마친 후 2명의 다른 연구자들과 분석한 내용의 적절성을 확인하여 반복하여 수정하는 작업을 거쳤다.

5. 연구의 질 확보

연구의 질은 Lincoln과 Guba [23]가 제시한 기준에 따라 실시하였다. 먼저, 연구진은 신뢰성(credibility)을 높이기 위해 연구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고, 친밀감을 가지고 인터뷰를 진행하도록 준비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를 일부 대상자에게 전자우편으로 송부하여 연구결과가 자신들의 진술한 내용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였다. 둘째, 적합성(fittingness)을 확보하기 위해 해당 진술의 내용이 포화가 될 때까지 자료수집하였다. 셋째, 감사가능성(auditability)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방법과 자료의 수집, 분석 과정을 자세히 기술하였고, 질적연구 경험이 있는 공동연구진이 내용을 교차 점검하였다. 마지막으로, 확증성(confirmability) 확보를 위해 초기 코딩 카테고리를 근거로 내용 분석을 진행하되 인터뷰 내에서 대상자 말의 의미를 파악하여 전체 내용 안에서 구문을 분류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연구의 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6.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우석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 심의를 획득한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IRB NO. WS-2020-11). 연구참여자에게 연구 시작 전에 구체적으로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설명하고, 언제든지 연구참여 또는 불참에 대한 의사 표현이 가능하며, 응답한 내용은 연구목적으로만 사용함을 설명하였다. FGI 사회자가 연구 시작 전에 설명문을 낭독하고 연구 동의서에 서명을 받은 후에 인터뷰를 시작하였다. 모든 인터뷰 내용은 녹음하며, 녹음을 원치 않는 부분의 경우, 녹음을 잠시 멈출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연구 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연구 종료 후 논문을 게재한 다음 모두 파기함을 설명하였다. 인터뷰를 마친 후, 연구참여자에게 감사의 표시로 소정의 교통비를 지급하였다.

연구결과

1. 연구참여자

본 연구참여자는 해외에서 간호대학생의 실습이나 봉사 활동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간호전문가로서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평균 연령은 53.37세(범위: 41~66세), 국제보건 활동 횟수는 2~15회, 해외 간호실습 지도 횟수는 1~8회였다. 참여자의 직업은 간호대학 교수 7명과 NGO 활동 간호전문가 1명이었으며, NGO 활동 간호전문가의 경우 해외에서 현장지도자로서 간호실습을 지도하였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8)
Click for larger image

2.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의 실습 설계

FGI에서 도출된 내용에서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의 실습 설계 영역은 ‘실습 역량: 글로벌 간호지도자로 성장하기’, ‘실습목표: 하나의 푯대를 지향하며 함께 하기’ 등 2개 범주에 6개의 하위범주로 분류되었다(Table 2).


Table 2
Focus Group Interview for Glob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Click for larger image

1) 실습 역량: 글로벌 간호지도자로 성장하기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의 실습 설계 영역 중 역량의 하위범주 3개는 리더십, 협력, 문화적 역량으로 분류되었고 이는 글로벌 간호지도자로 성장하기 위한 것이다.

(1) 리더십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간호대학생은 익숙하지 않은 환경에 적응하며 상황에 따라 최적의 간호중재를 제공하는 방법을 배우고 깨닫고 습득하면서 자기주도적으로 보다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성장한다. 이 과정에서 간호대학생은 강인해지며 스스로 미래 설계를 하는 간호사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미래 성장을 위한 동기부여가 된다.

해외 간호실습 후 학생들의 무한한 성장을 보고 정말 의미 있는 해외 실습임을 느꼈습니다. 리더십의 역량이 개발되어 놀랍도록 성장한 학생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국제적 간호사로서 무엇이든지 하겠다는 학생, NGO를 지원하여 국제 건강 문제에 관계된 직업을 가지겠다는 학생 등 학생들의 동기 유발을 가져오는 계기가 됨을 알 수 있었습니다.(참여자 8)

(2) 협력

일반적으로 간호대학생은 보이지 않게 성적 경쟁이 치열하다. 그러나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될수록 간호대학생은 ‘우리’라는 공동체 의식이 더욱 중요하고 바람직함을 깨달으며 서로 돕는 협력 정신을 학습하게 된다.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 프로그램 내용은 대부분 팀을 기반으로 간호중재를 제공하거나 교육과 상담을 수행하며 협력하는 것을 배우도록 구성되어 있다.

간호대학생들이 굉장히 개인주의잖아요. 경쟁도 치열하고 성적에도 민감하고 하다 보니까 자기가 일단 남보다 더 올라가야 한다는 생각들이 크고 그래서 굉장히 개인주의고 남한테 도움을 안 주려고 하는데, 해외 나가게 되면 어쨌든 ‘우리’가 되는 것 같더라고요. 그러면서 저희 같은 경우는 교육을 주로 많이 했었는데 교육은 혼자 할 수 있는 게 절대 아니고 뭘 하더라도 같이 해야 하는 상황이다 보니 협력하는 것을 배우는 기회가 되지 않을까…(참여자 2)

(3) 문화적 역량

간호대학생은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국가별 문화적 특성과 건강 수준의 차이 등을 경험하면서 자연스럽게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게 되고 현지인과 교류하며 문화적 인식과 문화적 존중을 학습하게 된다.

나라별로 차이가 나는 건강 수준 건강형평성 우리가 공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겠다. 그리고 또 다문화 다양성, 대상자의 특성 다른 나라는 어떤 건강 문제가 있고 이런 것들을 학습할 수 있는 계기가 되겠다는 생각이 들고요…(참여자 1)

짧은 일주일이지만 무엇보다 가서 직접 눈으로 자신과 다른 문화, 다른 피부색,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만나고 함께 만나고 소통하는 접촉을 했다는 것 자체가 문화적 역량을 함양하는 국제적 마인드(mind)를 경험하는 기회가 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그래서 타문화를 수용할 수 있고, 존중할 수 있는 것이 문화적 역량이라고 한 거 같은데…(참여자 4)

2) 실습목표: 하나의 푯대를 향해 함께 하기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의 실습 운영 중 실습목표의 하위범주 3개는 ‘명확한 목표설정’, ‘함께 목표설정’, ‘성취 가능한 목표설정’으로 분류되었고 이는 하나의 푯대를 향해 함께 하는 것이다.

(1) 명확한 목표설정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은 국내 간호실습 교육보다 학생과 교수자 모두에게 시간, 비용, 노력, 안전 등에 대한 부담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실습의 목적이 뭔지 명확하게 새기는 게 필요할 거 같고요.(참여자 2)

교과서나 지역사회를 떠나서 정말 일주일을 학생들에게 특별히 다른 학교에서 안 하는 이 글로벌 시스템을 왜 굳이 일주일이나 들여서 교수님들이 헌신하면서 할 것인가에 대해서 그 목표를 분명하게 세운 다음에…(참여자 4)

(2) 함께 목표설정

연구참여자는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의 목표 달성률과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실습목표를 설정할 때 여러 교수자와 함께 설정할 것은 물론 반드시 현지 실습 관계자와도 협의해야 한다고 하였다.

준비시켜야 하고 일주일 해외과정도 있는데 그런 거 자체가 부담이라서 일단 혼자 짜는 게 아니라 학교의 계획으로 짜야 할 거 같아요. 돌아가면서 봐야 될 수도 있으니까 경험이 있는 분들과 함께 모여 계획을 세우고 해야 되지 않을까 싶고…(참여자 4)

우리가 원하는 교육을 하는 게 아니라 그쪽에서 필요로 하는 것을 해야 해요.(참여자 5)

(3) 성취 가능한 목표설정

연구참여자는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의 목표는 꼭 달성해야 할 목표 중심으로 어떤 경우에도 성취 가능한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기존에 학교에서(실시하고 있는) 커리큘럼(curriculum)이나 활동들이 있으니까 의의와 최소한의 기대치로(목표를 설정)해서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고…(참여자 3)

꼭 해야 할 학습 목표를 세워서 실시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해외에 가는 것 자체가 부담스럽고, 준비해가도 현장에 가면 전혀 다른 경우도 있고 상황이 예기치 않는 경우도 자주 발생하므로, 많은 목표보다 일차적인 실습목표를 세워서 가는 것이 더 효과적이지 않나 생각됩니다.(참여자 6)

3.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의 실습 운영

FGI에서 도출된 내용에서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의 실습 운영 영역은 ‘실습 내용: 보고, 듣고, 수행하기’, ‘실습 방법: 준비부터 마무리까지 자기 주도적으로 하기’, ‘실습 평가: 성적보다 참여의 가치 알아가기’ 등 3개 범주에 8개의 하위범주로 분류되었다(Table 2).

1) 실습내용: 보고 듣고 수행하기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의 실습 운영 영역 중 실습내용의 하위범주 3개는 ‘현지 상황과 요구를 반영한 보건교육’, ‘사전 조사와 준비’, ‘현지 관찰 및 국내외 차이 확인’ 등으로 분류되었고 이는 직접 가서 보고 듣고 수행하는 것이다.

(1) 현지 상황과 요구를 반영한 보건교육

연구참여자는 보건교육을 실시하려면 현지의 요구와 현지문화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사전에 현지와 조율하여 현지 요구와 문화를 고려하여 주제와 교육내용을 선정하여야 하며, 보건교육을 통역해 줄 인력이나 현지에서 사용 가능한 기자재 등 현지 상황을 고려하여 준비하도록 한다. 현지 간호학생이 보건교육 통역을 해주면 교육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지역사회에서 그 지역이 무엇을 하길 원하는지 사전에 알아보고 서로 조정을 하고 커리큘럼(curriculum)을 짜야겠다는 생각이 들고요.(참여자 1)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거. 편하게 하는 보건교육 중의 하나가 손 씻기 교육, 구강 교육 이런 것들을 하는데 학생들의 경우에는 현재 아이들이 손을 잘 안 씻어, 양치질을 잘 안 해, 이런 교육 들을 준비해 가는데 그럼 그 학생들은 왜 손을 안 씻는지, 왜 양치질을 하지 않는지 분명히 우리나라 아이들과 다른 거기 때문에 그런 거에 대한 이해가 충분히 이루어지고 나서 다음 프로세스(process)가 진행되어야 한다.(참여자 2)

우리가 언어에 문제도 있기 때문에 누가 통역을 해 줄 것인지 우리가 한국말 할 것인지 영어를 할 것인지 거기서는 통역을 현지어로 할 수 있는지 영어로 해서 현지어로 할 건지 이것까지 다 정하고 같이 할 수 있으면 간호학과 학생이 있으면 가장 좋죠.(참여자 4)

(2) 사전 조사와 준비

글로벌 간호실습은 해당 국가와 지역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현지의 언어, 문화, 종교, 복장, 태도 등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조사한다. 때때로 출국 전에 준비가 필요한지, 현지에서 구입하거나 준비하는 것이 좋은지 알아둔다. 한편 한국국제협력단(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에서 실시하는 현장 활동의 경우 학생의 비용 부담이 거의 없지만, 학교가 주관하는 해외 간호실습의 경우 학교와 학생이 일정 비율로 비용을 부담하므로 경제적 준비가 요구된다. 그리고 글로벌 간호실습에 임하기 전 필수적으로 현지에서 만약의 예기치 않은 사고에 대비하여 보험 가입, 안전 교육, 다양한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사전에 준비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가 가는 그 지역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사전에 학생들끼리 너는 이거 조사해와 워낙 인터넷이 잘되어 있으니까 완전 구석에 있는 나라가 아닌 이상 다 인터넷에 나올 거 같고 우리나라가 특히나 KOICA 중점적으로 서포트(support) 하는 나라 특히 서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쪽은 KOICA에서 조사하는 게 다 나와 있어요.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게 많고 기본적으로 어떤 몇 명 같이 조사해서 하루 정도 조사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거 같고 현지에 대한 문화, 종교, 문화뿐만 아니라 종교적인 것도 중요하잖아요. 나와 다른 종교인 사람들 앞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말 한마디 하는 것도 굉장히 중요하고 태도도 복장 하나도 중요하잖아요. 그런 것들을 사전에 같이 이야기해보고 준비하는 것도 좋을 거 같고…(참여자 3)

어쨌든 지금까지는 비용을 다 대줘서 가고자 하는 학생이 많았던 것 같은데 만약에(중략)…학생들이 자비로 가야한다면 많을지 모르겠어요. 글로벌 간호실습을 운영하는게 좋긴 한데 항상 고민은 비용이 문제잖아요.(참여자 4)

저는 항상 안전이에요 처음부터 끝까지 안전이에요 거기에 있는 애들도 안전이지만 귀한 애들이잖아요(중략)… 안전에 대한 어려움이 있어서…(참여자 5)

(3) 현지 관찰 및 국내외 차이 확인

연구참여자는 학생들이 국내에서 해외 보건의료체계나 다양성을 학습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해외 현장에서 직접 보고 듣고 느끼면서 현지인의 대처 상황을 파악하면서 많은 것을 배우고 깨닫게 된다고 하였다. 학생들은 현지를 관찰하고 국내와의 차이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문화적 역량이나 문제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다. 이는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을 통해 현지를 관찰하고 국내와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현지에서 어떻게 그 모습을 우리 한국과 다르게 어떻게 하는지 가서 관찰만 하더라도 가서 학생들끼리 서로 같이 교제도 하고 이런 생각하는 그런 것 동시에 현지 간호사가 우리 간호사와 어떻게 다르게 일하는지 관찰만 하더라도 저는 좋을 거 같아요. 나중에 돌아와서 ‘거기에 문제점은 무엇 무엇이었고 이런 부분은 우리보다 훨씬 나았다, 우리가 우리 지역사회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 그런 고민 들을 할 수 있는 거니까…(참여자 3)

거기 가보면 애들이 이렇게 다르다 느끼는 그것으로 저는 충분하다고 생각하거든요.(참여자 5)

2) 실습 방법: 준비부터 마무리까지 자기 주도적으로 하기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의 실습 운영 영역 중 실습 방법의 하위범주 3개는 ‘사전교육의 강화’, ‘다양한 교수 방법 적용: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PBL) 및 프로젝트법(project method) 으로 현장 문제해결’, ‘실습 후 집담회로 학습효과 배가’ 등으로 분류되었고 이는 준비부터 마무리까지 자기 주도적으로 하기이다.

(1) 사전교육의 강화

연구참여자는 학생들이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을 단순한 여행으로 착각하지 않기 위해 목표를 분명하게 인지하고 이성적으로 실망하지 않도록 사전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사전학습 과제로 언어, 문화, 종교, 숙소 등의 다양한 특성과 차이에 대하여 인식 개선의 기회를 주어 상호 의견을 나누도록 한다.

사전교육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실습 전 오티(Orientation, OT), 교육, 사전학습 과제를 주어서 자신의 사전학습이 굉장히 중요하여 사전학습이 해외 실습의 거의 반을 차지한다고 봅니다. 인터넷 등을 통한 자료 검색 등을 통하여 많은 준비를 하도록 과제를 주어서 수행하도록 합니다. 그리고 실습에 임하는 학생의 실습하는 목표를 확실히 알도록 사전교육이 필요합니다.(참여자 7)

(2) 다양한 교수법 적용: PBL 및 프로젝트법(project method)으로 현장 문제해결

연구참여자는 해외 현장의 모든 상황을 예측하거나 통제하기 어려우므로 기존의 간호학실습과 다르게 접근하도록 하며, 다양한 교수법 중 PBL이나 프로젝트법이 적합하다고 하였다.

교육 방법 중 PBL로 문제해결을 하도록 한다든지, 우리가 필리핀에 갔을 때처럼 프로젝트법(project method)으로 한다든지 하면 많은 것을 배우게 될 것이며 한국에서 실습하듯이 하면 안 될 것 같습니다. 현장의 문제를 잘 모르고 보건의료체계도 학습하고 간다고 해도 제한이 있으므로 그렇게 해야 할 것입니다.(참여자 8)

(3) 실습 후 집담회로 학습효과 배가

글로벌 간호실습 후 집담회를 통하여 교수자는 학생의 변화를 알 수 있으며, 학생은 다른 팀원의 발표와 교수자의 설명을 통해서 학습효과를 높이게 된다.

실습 후 컨퍼런스(conference)를 통하여 보고서를 작성한 내용을 가지고 학생의 변화, 동기유발, 학생이 실습한 내용 등을 보고 평가할 수 있으므로 꼭 실습보고서를 발표하고, 조별 발표를 통하여 상호 조를 통하여 배우게 되는 것도 많은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참여자 8)

3) 실습 평가: 성적보다 참여의 가치 알아가기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의 실습 운영 영역 중 실습 평가의 하위범주 2개는 ‘급락(Pass or Fail, P/F) 평가’, ‘점검표(checklist) 평가’로 분류되었고 이는 성적보다 참여의 가치 알아가기이다.

(1) 급락 평가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의 실습 운영 영역 중 실습 평가는 성적보다 참여의 가치 알아가기로 순위를 정하는 평가보다는 급락 평가방식의 적용이 합리적이다.

이거를 해서 학점을 잘 받거나 못 받는 게 의미가 없는 거잖아요. 참여하는 것 자체가 이미 의미가 있기 때문에 평가는 그렇게 엄격하게 할 필요는 없을 거 같아요.(참여자 4)

(평가는) 페일(fail), 패스(pass)로 해야 될 거 같아요.(참여자 5)

(2) 점검표(checklist) 평가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의 실습 운영 영역 중 실습 평가는 성적보다 참여의 가치 알아가기로 점검표(checklist) 평가방식의 적용이 합리적이다.

영국에서 간혹 간호대학생들이 실습을 오는 경우가 있었어요. 이 사람들이 어떤 커리큘럼(curriculum)을 가지고 온 게 아니고 가서 몇 시간 관찰하고 담당자가 이 사람은 몇 시간 나왔고 어떤 것을 관찰했고 그 목록을 써서 담당자 서명을 받아서 그런 식으로 보내는 겁니다. 학생도 부담스럽지 않게…(참여자 3)

4.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의 실습 관리

FGI에서 도출된 내용에서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의 실습 관리 영역은 ‘교수자의 책임: 오롯이 짊어진 짐’ 1개 범주에 3개의 하위범주로 분류되었다(Table 2).

1) 교수자의 책임: 오롯이 짊어진 짐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의 실습 관리 영역은 3개의 하위범주 ‘다양한 역할과 부담감’, ‘안전에 대한 책임감’, ‘예측하지 못한 상황과 통합적 문제해결 능력’ 등으로 분류되었고 이는 ‘오롯이 짊어진 짐’이다.

(1) 다양한 역할과 부담감

연구참여자는 인솔 책임 교수의 오롯한 헌신과 봉사로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이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의 교수자인 인솔 책임 교수는 시간, 노력, 비용 등에 대한 부담이 크며, 특히 현지에서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해야 함은 물론 안전에 대하여 책임지는 부담감이 상당히 크다.

준비시켜야 하고 일주일 해외과정도 있는데 그런 거 자체가 부담이라서…(중략)(참여자 4)

비용의 일부라도 학교의 협조가 없으면 돈을 밖에서 끌어다가 애들을 보냈어요…(중략)… 협회 차원에서 글로벌 정말 우리 한국의 간호학생의 글로벌 역량을 키운다는 의미에서 협회 차원에서 회비 내잖아요. 거기서 정말 한 지역이든 한 학교든 간에 1~2명씩을 보낼 수 있는 견학할 수 있는 그런 것을 협회 차원에서 만들면 참 좋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참여자 5)

(2) 안전에 대한 책임감

연구참여자는 해외에 나가는 것 자체가 하나부터 열까지 안전에 대한 부담감, 책임감이 부여되는 것이므로 아무런 성과가 없이 안전하게 돌아오기만 해도 성공이라고 하였다. 그만큼 안전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아, 정말 안전 방법, 굉장히 문제이기 때문에 ‘정말 하나님이 도왔다. 내가 정말 3년 동안 봉사를 했구나’라는 생각이 들고 갈수록 두려움과 무서움이 생겨요.(참여자 5)

교수자가 대비해야 할 것 중 가장 어려운 점이 안전입니다. 안전을 책임지는 것, 그래서 케냐 왔을 때 저희 학생들 거의 2/3가 아팠거든요. 굉장히 열악한 환경에서 학생들이 많이 아팠는데 만약의 경우라도 어떻게 대처할 건지에 대해 충분히 이야기하고 가야 할 것 같고요.(참여자 2)

(3) 예측하지 못한 상황과 통합적 문제해결 능력

사전에 협의하고 준비하였어도 막상 현지에 나가보면 예기치 않은 상황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교수자의 경험과 역량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책임 교수는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과 현지자원과의 의사소통 및 의견 협상 능력이 필요하다.

해외에 가는 것 자체가 부담스럽고, 준비해서 가도 현장에 가면 전혀 다른 경우도 있고 상황이 예기치 않는 경우도 자주 발생하므로…(중략)… 현장에서 예기치 않게 발생하는 상황들에 대처할 수 있는 경험 있는 교수자가 실습을 지도해야 할 것입니다. 경험이 없으면 여러 어려운 상황에 대처할 수 없으니까요.(참여자 6)

예기치 않은 상황들이 많이 발생할 수 있는데 그것들을 어떻게 해결해 가느냐가 되게 핵심인데…(중략)… 현지 자원과의 의사소통이라던지 해결해 가는데 있어서 의견 협의나 이런 게 굉장히 중요할 것 같아요.(참여자 4)

논의

본 연구는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도출하기 위하여 글로벌 간호실습 경험이 있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FGI를 적용한 연구결과로,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의 실습 설계, 실습 운영 및 실습 관리 영역과 하위범주에 대해 논의해 보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결과 글로벌 간호실습을 통하여 간호대학생은 리더십, 협력, 문화적 역량이 증진되며 글로벌 간호지도자로서의 성장을 이루게 됨을 확인하였다. 리더십 역량증진은 국제보건역량 강화 프로그램 참여 후 글로벌리더십 역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는 선행연구와 일관된 결과를 보인다[17]. 협력은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요구하는 간호사 핵심역량이며, WHO에서도 국제보건 향상을 위한 전략으로 강조하고 있는 역량으로[12, 13], 글로벌 간호실습을 통하여 협력 역량이 달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글로벌 간호실습은 경쟁과 개인학습 중심의 국내 실습과 달리 공동체 의식과 협력의 중요성을 알게 하며 팀 활동을 통해 상호협력 정신을 함양한다.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증진은 대상자의 건강 결과를 향상시키고 건강불평등을 경감하게 하는데[17], 글로벌 간호실습을 통하여 간호대학생은 현지인과 교류하며 다름을 경험하게 되고 타문화를 존중하며 수용할 수 있는 문화적 역량을 갖추게 된다. 이는 해외실습을 통하여 문화 역량이 증진되었다는 여러 선행연구와 일관된 결과이다[24, 25]. 그러므로 지역사회간호학실습에서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의 학습목표 향상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글로벌 간호실습 설계 시 실습 전과 후 학생들의 리더십, 협력, 문화적 역량의 변화 정도를 실습의 성과로 측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 글로벌 간호실습의 실습목표는 하나의 푯대를 향해 여러 관계자가 함께 모여 성취 가능한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해야 함이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해외 실습이 시간과 노력, 비용 및 안전 등의 부담이 크기 때문에 실습의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달성 가능성을 고려하여 실습지도 경험자 및 현지 관계자 등과 협의하여 목표를 세워야 한다고 하였다. 이는 글로벌 실습 교과과정 개발은 많은 연구와 협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다 학제 간 연구팀의 구성을 제안한 선행연구와 일관된 결과를 보인다[26]. 또한, 많은 학습 목표보다는 최소한의 목표를 세워 효과적인 운영이 필요하다고 하였는데 현지 특성을 반영한 사전 조사를 통해 학습 목표 선정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결과 글로벌 간호실습의 실습 내용은 보고 듣고 수행하는 것으로 현지 상황과 요구를 반영한 보건교육, 사전 조사와 준비, 현지 관찰 및 국내외 차이를 확인하는 내용으로 구성함이 도출되었다. 선행연구에서도 단순히 잘 포장된 사례 제시 중심의 교육은 학생들에게 환상을 가지게 할 수 있으므로 지양하도록 하고 그 대신 현지 체험 중심의 교육내용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참여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하고 있다[27]. 우리나라 국제보건의료재단의 민관협력공모사업 활동 내용을 보면 지역사회 보건교육, 보건소와 가정방문 봉사, 지역사회 집중실습 중인 현지 간호대학생과 일대일 연결하여 함께 실습하였으며, 실습 후 학생들의 교류 시간도 가졌는데[17], 내용의 구성이 지역사회간호학 실습과 유사하므로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해외 실습 비용이 학생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내용이 진술되었는데 이는 선행연구에서 간호학생의 해외 현지 연수 프로그램의 고비용 문제가 국제화 경험에 커다란 장애요인이라고 지적한 결과와 일관된 것이다[28]. 비용의 문제는 참여기회와 참여 학생의 연령 및 계층 제한, 사후 성과 관리 및 프로그램의 지속성에도 영향을 미쳐 참여 학생 간, 교류 국가 간의 네트워크 지속성의 문제까지 연결된다[2]. 그러므로 글로벌 간호실습을 위해서는 학교가 중심이 되어 다양한 기관의 협력과 지원 방법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현지 학생들과 교류 등 사전 조사를 통하여 문화적 민감성을 높이고 국내와의 차이를 확인하여 우리나라의 간호학에도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를 생각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에서 글로벌 실습을 참여하는 학생들을 위해 실습 전 오리엔테이션, 대상 지역에 대한 사전학습, 해외 실습의 목표를 명확히 하는 사전교육의 중요성이 진술되었는데,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학생들 스스로가 KOICA 등 국제기관과 인터넷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언어, 문화, 종교적 차이, 숙소 등에 관한 내용 등을 포함하여 실습 전 충분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내용이었다. 선행연구[29]의 해외 간호 경험이나 실습 경험의 사례를 확인하여 좀 더 실질적인 준비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교육 방법으로 PBL이나 프로젝트법(Project method) 활용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는데 이러한 교육 방법은 국내 지역사회간호학실습 교과목에서 사용하는 교수-학습법인 조별학습, PBL, Flipped Learning과 유사한 교육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7]. 실습 후에는 사후 모임을 통하여 학생의 변화, 동기 유발, 실습한 내용 등을 발표하고 조별 발표를 통하여 서로 학습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학습효과가 높아질 것을 제시했는데 이는 국제보건역량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간호학생들이 조별 담당 교수 및 조원과 함께 성찰과 토의를 통하여 타 문화와 사람, 그리고 국제보건에 대한 학생들의 사고와 태도가 성장했다는 선행연구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17]. 그러므로 성찰일지 작성과 집담회를 통한 교수자의 피드백은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자기 주도 학습의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간호실습 평가 방법으로는 참여에 의미를 두어 점수보다 pass/fail 평가방식과 점검표(checklist) 활용을 제시하였는데 현지에서 관찰 및 수행 가능한 항목을 구체화하여 목록으로 만들어 학생이 체크하고 현장지도자가 확인하는 형식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중 글로벌 간호실습 인솔 교수들은 준비과정부터 돌아올 때까지 학생의 안전과 돌발 상황 발생에 대한 큰 부담을 가지게 되는데 인솔 책임 교수는 위기 상황에 대해 학생들과 사전에 충분히 검토해야 하며, 응급상황 대처에 대한 현지자원과의 의사소통과 협상 능력이 필요하다. 실습이 효과적으로 운영되려면 여러 관련자 간 긴밀한 협력과 소통이 필요하다[30]. 안전을 위해서는 보험 가입이 필수이고 현장지도자와 비상 연락망 등을 잘 갖추어 유기적인 응급상황에 대처할 시나리오도 검토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대비해 경험 있는 교수자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참여자는 글로벌 간호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한간호협회 차원에서 학교별 또는 지역별 글로벌 간호실습을 지원해주기를 제안하였는데 이러한 의견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미래 사회의 간호사는 해외여행과 이주, 보건의료 서비스와 보건의료 인력의 이동, 국제기관 활동과 조약의 증가 등과 같은 세계화 현상이 각 나라의 보건의료체계와 개인의 건강 수준에 미치는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 실무역량을 갖출 것을 요구받을 것으로 전망된다[27].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여 실습모델도 미래지향적으로 바뀌어야 하며 현재 간호영역을 초월하여 실습영역을 확장하는 것은 미래 간호의 범위와 영역을 확대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6]. 그러므로 간호대학은 학생들을 글로벌 간호지도자로 성장시키기 위하여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과정을 개설하여 학생들이 해외실습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국제화 시대에 해외실습지도 및 인솔 경험이 있는 전문가들의 글로벌 간호실습 운영 및 지도자의 어려움을 생생하게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적인 실습 운영에 대한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지역사회간호학 해외 실습 사례가 드물고 연구대상자가 한정적이며 학생들의 국제협력 및 일부 과목에 대한 단기 실습지도 경험 사례로 내용이 제한되므로 일반화에 대한 한계가 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의 실습 설계, 실습 운영 및 실습 관리에 대한 FGI 방법을 이용한 질적연구이며, 연구의 결과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은 3개의 영역, 6개의 범주, 17개의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이 결과는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은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고 본 연구가 지역사회간호학실습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글로벌 간호지도자 역량증진을 위한 실습 프로그램 콘텐츠 개발 연구를 제안한다. 둘째, 글로벌 지역사회간호학실습 모델개발을 제안한다. 셋째, 간호학과 교육과정에 글로벌 간호실습 교육의 확대를 위한 연구를 제안한다.

Notes

이 논문은 2020년 지역사회간호학회의 소규모 연구회 연구비지원으로 연구되었음.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20.

References
Lee SM, Jeong YK. A study on global field placement model co-working with local partner university: Based on Kumoh institute of technology case study.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2016;8(2):129–136. [doi: 10.14702/JPEE.2016.129]
Kim SM, Kim YH. Research trend analysis on global experiential learning for youth in Korea (2005-2014).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5;15(9):311–330.
Global Korean Nursing Foundation. About the institution [Internet]. Seoul: Global Korean Nursing Foundation; 2021 [cited 2021 June 23].
Tuckett A, Crompton P. Qualitative understanding of an international learning experience: What Australian undergraduate nurses and midwives said about a Cambodian plac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2014;20(2):135–141. [doi: 10.1111/ijn.12142]
Ulvund I, Mordal E. The impact of short term clinical placement in a developing country on nursing students: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Nurse Education Today 2017;55:96–100. [doi: 10.1016/j.nedt.2017.05.013]
June KJ, Chin YR, Kim HG, Kim CM, Song YY, Kim SY, et al. Direction of the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e education focusing on the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criter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6;27(2):183–192. [doi: 10.12799/jkachn.2016.27.2.183]
Cho YH, Do EY, Kang KS, Kim YM, Kim YK, Rou FR, et al. 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the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7;28(3):347–356. [doi: 10.12799/jkachn.2017.28.3.347]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Health Plan 2030[Internet]. Seoul: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21 [cited 2021 June 23].
Kim MA, Choi SE. A Literature review of the studies on cultural competency of nurses and nursing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8;29(4):450–466. [doi: 10.12799/jkachn.2018.29.4.450]
Ahn OH, et al. In: Community health nursing I. Seoul: Hyunmoonsa; 2020. pp. 455.
Han SY, Chung HI. Development of a cultural competence scal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5):684–693. [doi: 10.4040/jkan.2015.45.5.684]
Lee HJ, Choi JH, Hyeon SS, Kim CM, Chin YR. A comparative study between American public health nurse core competency and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um in a provi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7;28(3):334–346. [doi: 10.12799/jkachn.2017.28.3.334]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world health report: Working together for health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6 [cited 2021 June 23].
Browne CA, Fetherston CM. How do we facilitate international clinical placements for nursing students: A cross-sectional exploration of the structure, aims and objectives of placements. Nurse Education Today 2018;66:1–7. [doi: 10.1016/j.nedt.2018.03.023]
Halcomb E, Antoniou C, Middleton R, Mackay M. The experiences of australia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of a clinical placement in cambodia. Collegian 2018;25(3):313–318. [doi: 10.1016/j.colegn.2017.08.002]
Ailinger RL, Molloy SB, Sacasa ER. Community health nursing student experience in Nicaragua. Journal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9;26(2):47–53. [doi: 10.1080/07370010902805072]
Hwang SY, Kim JS, Ahn H, Kang SJ. Development and effect of a global health capacity building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5;26(3):209–220. [doi: 10.12799/jkachn.2015.26.3.209]
International Concil of Nurses. ICN CEO calls new organisation for heads of nursing in the Pacific region a "powerful voice for nursing" [Internet]. Geneva: International Concil of Nurses; 2020 [cited 2021 June 23].
Chin YR, Song YY, Kim YM. Learning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on community health nursing clinical placem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2018;13(2):25–41. [doi: 10.22715/JKARHN.2018.13.2.025]
McLafferty I. Focus group interviews as a data collecting strateg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4;48(2):187–194. [doi: 10.1111/j.1365-2648.2004.03186.x]
Krueger RA, Casey MA. In: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4th ed. Califonia, CA: SAGE publications; 2009. pp. 219.
Hsieh HF, Shannon SE.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2005;15(9):1277–1288. [doi: 10.1177/1049732305276687]
Lincoln YS, Guba EG. In: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1985. pp. 415.
Edmonds ML. The lived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who study abroad: A qualitative inquiry. Journal of Studies in International Education 2010;14(5):545–568. [doi: 10.1177/1028315310375306]
Kang SJ, Park MH. The effects of global disaster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on paramedic and nursing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2014;18(1):83–94. [doi: 10.14408/KJEMS.2014.18.1.083]
Choi KS, Kim HS, Lee SY, Dressel A, Galvao LW, Jun MH.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global health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6;22(2):220–227. [doi: 10.5977/jkasne.2016.22.2.220]
Lee HK, Kim HS, Cho EH, Kim SH, Kim JH. Global health competencies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5;21(4):561–573. [doi: 10.5977/jkasne.2015.21.4.561]
Kent-Wilkinson A, Dietrich Leurer M, Luimes J, Ferguson L, Murray L. Studying abroad: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decisions to apply for clinical placements in international settings. Nurse Education Today 2015;35(8):941–947. [doi: 10.1016/j.nedt.2015.03.012]
Kong ES, Yi JD.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and adaptation of nursing students during their overseas hospital training. Journal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2018;13(2):183–220.
Rhee 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field practica at the overseas mission schools.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2018;56:241–271. [doi: 10.17968/jcek.2018.56.008]

RCPHN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